뿌리 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 6 근대편
온고이지신이라는 말이 있다. 옛것을 앎으로 해서 날로 새로워진다는 뜻이다.우리의 지나온 역사는 그러기에 소중하고 또 잘 알아야 지금 현재의 우리의 모습을 잘 알 수 있게 되고 미래의 제대로 된 비전도 제시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특히나 이번 뿌리 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 시리즈 6 근대편에서 다루고 있는 구한말과 일제 강점기로 넘어가는 역사는 왜 우리 민족의 지금의 위치에 있게 되었는지에 대한 좋은 공부 자료가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일본과 청나라 등 외세의 침입에경제는 혼돈 속에흔들리고 러시아와 서구 열강들도 호시탐탐 우리의 영토를 넘보는 사이, 나라 안에서는 동학난과 갑오개혁 등 민란과 개혁의 소용돌이가 몰아치는 그야말로 혼란과 격랑의 중심에 놓여 있는 것이우리나라의 엄울한 현실이었다.우리의근대사를 다룬 이 책을읽다 보면 절로 한숨과 비통함에 젖게 된다. 나라가 힘이 없으면 다른나라의 권력에 무릎을 꿇을 수 밖에 없고 그런 나라의 백성은 결국 고통 속에서 저항하다 목숨을 잃는 신세가 되는 모습을 보니 그 비통함이 내게도 느껴진다.몇몇 인간들은 나라를 팔아먹고 사리사욕으로 제 배만 불리고 백성들이야 어떻게 되든 상관없는 사고방삭으로 나라를 다스리는 위치에 있는 모습이 지금과 별반 다르지 않다는 것이 씁쓸했다.근대사를 통해서 우리 민족이 진정 나가야 할 길이어떤 길인지 곰곰이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준 책이다.
흥선 대원군에서 대한제국, 그리고 일제 강점까지, 격동의 근대사 속으로!
19세기 후반 흥선 대원군의 집권에서 일제 강점기 초기인 1920년대까지 약 60년의 기간을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국제 관계 등 37개의 주제로 나누어 개략적으로 탐색한다.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즉 구한말에서 일제 강점기를 거치는 한국의 근대는 그 어떤 시기보다도 드라마틱하고 파란만장하다.
청나라와 일본, 러시아, 그리고 미국과 프랑스 등 서양 열강의 이권 침탈의 틈바구니에서 우리 조상들은 어떤 문제의식과 사상을 갖고 참담한 시간을 통과해갔을까? 뿌샘 시리즈의 가장 큰 장점인 풍성한 사료는 이번 책에서도 여지없이 빛을 발한다. 승정원일기 , 고종실록 , 일성록 , 서유견문 등 우리가 익히 이름을 알고 있는 유명한 고전이나 문헌과 「황성신문」, 「독립신문」 등 생생한 사료를 풍부하게 인용함으로써 숨 가쁘게 돌아가던 구한말을 체험하는 듯한 현장감 있는 역사 공부를 가능하게 한다.
뿌리 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 개정 신판 간행사
뿌리 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 초판 간행사
[근대편] 개정 신판 머리말
초판 머리말
Ⅰ. 외세의 침입과 국교 확대
1. 개혁의 칼을 빼들다 - 대원군 정권
2. 파란 눈의 외국인을 막아라 - 양요와 쇄국
3. 일본의 조선 침략론 - 서계 문제와 정한론
4. 조선, 문호를 확대하다 - 운요 호 침입과 강화도 조약
Ⅱ. 근대화 추진을 둘러싼 갈등
1. 외부의 나쁜 것을 막아라 - 척사 사상
2. 동양의 도덕, 서양의 기술 - 동도서기론
3. 서구화된 문명을 꿈꾸다 - 개화주의
4. 구식 군대의 반란 - 임오군란
5. ‘3일천하’로 끝난 개혁의 꿈 - 갑신정변
Ⅲ. 일·청의 경제 침투와 사회 경제의 변동
1. 외국 상품, 조선 시장 점령 - 일·청의 경제 침투
2. 소상인과 대상인의 변화 - 보부상과 객주
3. 국내 상업을 보호하자 - 혜상공국 및 관세권 회복 문제
4. 우리 쌀의 반출을 금하노라 - 양곡의 대일 유출과 방곡령
Ⅳ. 동학란과 갑오개혁
1. 농민군의 핏발 어린 외침 - 동학란
2. 정부가 개혁을 단행하다 - 갑오개혁
Ⅴ. 대한제국과 주권 국가 건설 운동
1. 사회를 서구화하자 - 독립협회와 만민공동회
2. 대한제국 헌법 제정 - 대한국 국제
3. 근대적 토지 소유권 확립 - 광무 양전·지계 사업
4. 상공업을 진흥시키자 - 식산 흥업책
5. 두 얼굴의 철마 - 철도 부설
Ⅵ. 일제의 침략과 국권 수호 운동
1. 한·중, 한·일 영토 분쟁 - 간도와 독도
2. 이날을 목 놓아 크게 우노라 - 을사늑약과 민족의 저항
3. ‘대동’과 ‘홍익인간’ - 유교구신과 대종교
4. 대한제국, 돈줄이 마르다 - 일제의 재정·화폐 장악
5. 술·담배 끊어 나랏빚을 갚자 - 국채 보상 운동
6. 국민을 계몽하자 - 계몽 운동
7. 민족의 이름으로 떨쳐 일어서다 - 의병 전쟁과 의열 투쟁
8. 지주와 제국주의는 가라! - 활빈당·영학당
Ⅶ. 신교육과 문화 변동
1. 근대 국민을 육성하자 - 신학제와 국학 연구
2. 신문, 첫선을 보이다 - 근대 언론
3. 커피와 단발 - 신문물의 수용과 문화 변동
Ⅷ. 일제의 강점과 기반 구축
1. 황제 폐위, 강제 병합 - 대한제국 강점
2. 폭압의 권력자, 조선총독부 - 통치 체제 기반 구축
3. 토지 조사와 동양척식주식회사 - 수탈 체제 기반 조성
4. 피와 열성으로 대항하다 - 민족·사회 운동의 전개
부록
왕 계보도
연표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