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석유 에너지

 「세계 시민 수업」 두번째 책인 <석유 에너지> 예요.<석유 에너지>는 석유가 어떻게 만들어지고 쓰이는지 석유의 역사에서 부터석유 시추 기술의 발달사, 석유로 인해 벌어지는 전쟁과 환경오염 그리고 오늘날 석유가 갖는 의미까지석유와 관련된 거의 모든 것을 알려주는 책이라 할 수 있어요.    우리가 사용하는 대부분의 석유는공룡이 번성하던 중생대 바다에서 만들어졌어요.한반도는 고생대부터 육지였던 아주 오래된 땅이기 때문에 석유가 발견되지 않아요. 중생대의 지구는 기온이 높았고, 대기 중에는 이산화탄소가 많아그 덕분에 바다는 햇빛과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광합성을 하는 해조류와 플랑크톤으로 가득했어요.그래서 이들의 시체가 빠른 속도로 바다 바닥에 쌓여 갔지요따뜻했던 중생대에는 바닷물의 온도가 높았고온도가 높았던 바닷물에는 산소가 공기 중으로 날아가 바닷물 속에는 산소도 많이 녹아 있지 않아바닥에 가라앉은 수많은 해조류들은 제대로 썩을 수 있는 환경이 아니었어요.그래서 대부분의 해조류 시체는 분해되지 않은 채 겹겹이 쌓여갔고 바닷물과 섞여서 질퍽질퍽하게 되었으며그 후 오랜 세월에 걸쳐 이 시체 더미 위에 퇴적물이 켜켜이 쌓여가..... 책에서는 석유가 만들어지는지 과정이 아주 자세히 설명되어 있답니다.초등생 아이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서술되어 있어요.또한 그림 설명도 잘 된 책이라글을 읽을때 그림과 함께 본다면 더 쉽고 빠르게 이해할 수 있어요. 그리고 또 하나.책에서는 석유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과정뿐만 아니라우리 생활 곳곳에 사용되는 석유가 들어간 물건들이 소개되어 있어요.석유 보일러같은 난방 장치, 핸드폰, 레고 장난감, 과자 봉지, 책가방, 운동화, 슬리퍼,생수병, 곰 인형, 아스팔트 도로, 스티로폼,그리고 옷, 벽, 방바닥, 우유팩, 콜라 캔, 검은색 잉크.게다가 아플 때 먹는 약이나 상처 났을 때 바르는 약, 화장품 등등까지!!우리 주위에서 석유가 들어가지 않은 것을 찾기가 매우 어려울 정도로우리는 석유 더미에 묻혀살고 있지요. 사실... 책을 읽기전까지 우리 생활에 석유가 이렇게나 많이 사용되는지 몰랐었네요 ㅠㅠ단순히 자동차나 비행기 등 온갖 탈것들의 기름으로 사용되거나비닐봉지, 아스팔트에 사용되는줄로만 알았지이렇게 많이 우리 주변 여기저기에 석유로 만든 물건들이 널려있는줄 몰랐어요.따라서 이 책을 통해 왜 석유의 이모저모에 대해 우리가 알아야 되는지 확실히 깨닫게 되었어요.우리 생활과 뗄레야 뗄 수 없을 정도로 석유가 사용되고 있고 하물며 식용의 용도로도 쓰이니석유에 대해서 알아야 되는 건 당연한 일이지요! ​이제, 석유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소개해드릴게요.석유를 처음으로 사용한 사람들은 5천 년쯤  전, 바빌로니아 사람들이었어요.이 나라 사람들은 나무로 만든 배에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배 바깥에 원유를 잔뜩 먹인 천을 붙였고도로를 포장하는 데 아스팔트 형태의 석유를 사용했어요.이렇게 오래전부터 석유는 알려져 있었지만19세기 말이 되어서야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지요.자동차 엔진으로 사용된 내연 기관의 발명으로 석유가 많이 사용되었거든요.    책에는 석유 시출 기술의 발달 과정도 나와요.어림짐작으로 석유 매장지를 찾았던 19세기 부터컴퓨터로 2차원이나 3차원 지층을 그리며 석유가 있는 곳을 찾아내는 오늘날의 모습까지자세히 소개되어 있답니다. 그리고 책에는 석유를 가장 많이 생산하는 나라들도 나오기 때문에아이들과 함께 왜 이 나라들에는 석유가 많이 나오는지 이야기를 나눠봐도 좋더라고요. 석유가 가장 많이 묻혀 있는 곳은 중동 지역, 그중에서도 사우디아라비아에 가장 많고그다음으로는 남미, 북미, 러시아래요.이들 지역은 지각의 이동과 변동이 심하게 일어났으며 석유를 가두어 둘 수 있는 지층이 발달해 있기 때문에석유가 많이 생산되는 거라고 하네요. 천연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개인적으로 석유가 많이 생산되는 이들 나라들이 부럽게만 느껴지더라고요.    석유는 오래전부터 악마의 눈물 이라고 불렀대요.매우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사용된 석유는또한 많은 사람들이 서로 차지하려고 욕심을 부렸기 때문에석유를 둘러싼 갈등과 전쟁이 끊임없이 일어났기 때문이지요.그리고 땅과 바다, 공기를 오염시켜 삶의 터를 파괴하고요.    책에는 석유때문에 전쟁이나 갈등을 벌인 나라들과 각종 석유 오염사고들이 소개되어 있어요.2007년 태안 기름 유출 사고도 나오기 때문에이 사고를 뉴스와 신문을 통해 보고 들은 저로서는석유 오염 사고의 심각성이 아주 크게 와닿더라고요.따라서 쓰기엔 편리한 석유이지만석유 오염으로 인한 피해가 워낙 크고 복구되기까지 시간도 오래 걸리기 때문에우리는 석유없이 살 미래를 생각해봐야 해요. 책에서는 미래에 사용될 친환경적이며 서로 차지하려고 싸울 일도 안 생길태양 에너지와 풍력 에너지의 효용에 대해 나와요.      「세계 시민 수업」 두번째 책인 <석유 에너지>를 통해석유의 형성 과정과 시추 기술, 우리 생활에 석유가 어떻게 사용되는지그리고 석유로 인해 발생되는 여러 문제점들에 대해 자세히 배울 수 있었어요.책 한 권으로 석유에 관한 거의 모든 지식과 정보를 알 수 있어서도 좋았지만앞으로 석유없이 살 세상에 대해 한번 생각해볼 시간을 갖게 된 점도 좋았네요.    초등 아들도 재미있게 책을 읽었어요.책을 보다 석유 생산량을 보통 배럴 이라는 단위로 나타내는데1배럴이 약 159리터나 된다는 사실에 깜놀하더라고요.(놀랄만도 한것이 아직까지 아들이 생각하는 많은 양의 액체는 바로, 생수 2리터가 전부였거든요 ㅎㅎ)그리고 우리나라 석유 소비량이 세계 8위라는 사실에도 놀랐어요.나라도 작고 석유도 생산되지 않는데 석유 소비량이 너무 많다면서요. <석유 에너지>는 초딩 저학년 아이도 흥미롭게 볼수 있는 책이에요. 석유로 인한 나라와 나라 사이의 갈등과 전쟁 이야기는 간혹 이해하기 힘들어하기도 했지만전반적으로 초등 저학년 아이도 이해하기 쉽게 글이 서술되어 있고재미있는 그림이 많이 나오기 때문에 책을 보는데는 전혀 문제가 없더라고요.   

세계 시민 수업 두 번째 시간, 전쟁을 일으키는 악마의 눈물 석유 우리가 몰랐던 석유 에너지의 비밀을 밝혀라! 석유는 분명 특수한 자원입니다. 석유가 있는 곳은 한정되어 있으나 세계 대부분의 나라가 석유에 의존해 살아가니까요. 이런 이유로 석유를 가진 나라들이 석유를 갖고 다른 나라와의 외교 관계에서 힘을 낼 때도 있습니다. 석유 가격을 올렸다, 내렸다 하면서요. 국제 관계에서 석유는 곧 힘이라는 인식으로, 많은 곳에서 석유를 욕심내어 전쟁과 같은 끔찍한 일도 석유 때문에 일어납니다. 그래서 석유를 악마의 눈물이라고 불리지요. 세계의 글로벌한 이슈를 통해 지구적인 문제를 다각도로 살피고, 현실적인 대안을 내주는 세계 시민 수업 시리즈의 두 번째 권, 석유 에서는 에너지 전문가 이필렬 교수가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춰 석유 에너지의 모든 것을 알려 줍니다. 148억 년 전 우주를 탄생시킨 에너지의 정체부터, 우리 삶을 윤택하게 하는 에너지가 어떠한 식으로 사용되었는지, 미래에 화석 연료가 고갈된 후에 우리의 삶이 어떻게 될지를 명쾌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석유가 언제 어떻게 만들어진 것인지, 언제부터 사용해 왔는지 등 석유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돕는 이야기도 있지요. 하지만 무엇보다 이 책의 장점은 석유 에너지와 우리 삶과의 밀접한 관계를 정확히 짚어낸다는 것입니다.

수업을 시작하며

1장. 우주를 만든 에너지
우주가 에너지에서 시작되었다고?
나는 명의 노예를 거느리고 산다
에너지 노예를 찾아라!
아주 위험한 에너지
꼬마 시민 카페 물체 g이 어마어마한 에너지가 된다고?

2장. 흥미진진한 석유의 역사
우리는 석유 더미에 파묻혀 산다
해조류의 시체가 석유가 되었다고?
자동차 덕분에 살아난 석유
꼬마 시민 카페 점토층의 종 모양 지층을 찾아라!

3장. 석유, 어떻게 퍼 올릴까?
석유를 찾아라!
대나무 관을 땅속에 박아 넣다
바다에서 석유를 뽑아 올리다
석유가 모자라면 어떡하지?
꼬마 시민 카페 기름을 어떻게 분리할까?

4장. 석유 때문에 휘청거리는 경제
우리 석유를 돌려줘!
석유를 수출하는 나라들이 힘을 합치다
석유로 돈 버는 회사들
석유가 나라를 병들게 한다
꼬마 시민 카페 석유를 퍼 오려고 세금을 낭비했다고?

5장. 악마의 눈물, 석유
석유 때문에 일으킨 전쟁
주민들의 삶을 파괴하는 석유
석유 회사는 돈만 벌면 된다고?
우리나라 바다를 뒤덮은 석유
세계 최악의 석유 오염 사고
꼬마 시민 카페 미국이 전 세계 석유의 분의 을 쓴다고?

6장. 앞으로 석유는 어떻게 될까?
석유가 없는 세상은 어떤 모습일까?
미래의 에너지를 찾아라!

꼬마 시민 카페 우리나라는 석유를 얼마나 쓸까?

수업을 마치며